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확정일자2

확정일자 안 받으면 보증금 날릴 수 도 있다고요? 임대차계약서에 받는 신청방법과 전입신고와 다른 점 확정일자를 안 받아서 보증금 날릴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전입신고는 했는데 확정일자를 깜빡해서 불상사가 생기도 합니다.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필수조건이죠, 전입신과 확정일자는 임대차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권리를 보장해 주는 안전장치라는 것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변에서 이야기는 많이 들었고 계약할 때 꼭 해야한다고 했는데 왜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 시간을 가져볼게요. 전입신고는 이사들어왔으니까 사는 곳으로 전입을 옮겨야 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죠. 근데 확정일자는 왜 필요하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확정일자가 무엇인지 보고 갈게요. 확정일자의 뜻 법원이나 주민센터에서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날짜를 확정해 주는 것으로써 경매.. 2023. 9. 6.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제 대상 및 방법안내(전세 월세 임대임 임차인 모두 포함) 과태료 벌금은 계도기간연장까지 부과 유예 주택임대차계약하고 나서 임대차신고해야 되는 건 이제 다 아는 사실이죠? 이번에 지인이 아파트 월세계약하면서 이거 꼭 신고해야 되냐고 묻길래 원래 해야 된다고 해주면서도 안 해도 아직까지는 과태료나 벌금은 없다고 알려줬는데요. 연장된 계도기간까지 과태료부과가 유예된다고 해서 신고 안 해도 된다고 생각지 마시고 오늘 정리해 드리는 내용 보고 해당되는 분들은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중개사를 통해서 거래를 하게 되면 중개사가 친절하게 설명해줄 테니까 걱정 없겠지만 직거래로 하게 될 때는 간혹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거든요. 전세나 월세 상관없이 기준금액을 넘으면 신고하게 되어 있으니까 임차인이든 임대인이든 주택임대차신고안내를 꼼꼼하게 체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택임대차신고제는 왜 생긴걸까? 1. 주택임대차신.. 2023. 8. 17.
728x90
반응형